테토 에겐 테스트 간단하게 해보기
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, 그리고 MZ세대(특히 Z세대) 사이에서 ‘테토남’과 ‘에겐남’이라는 신조어가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 이 용어들은 남성의 성향을 호르몬 명칭에서 따와 간단하게 분류한 트렌디한 표현으로, 연애 스타일은 물론 인간관계와 사회적 태도까지 설명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.
1. 테토(Teto) – 테스토스테론
의미: 테토남은 남성호르몬인 ‘테스토스테론(testosterone)’의 특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성을 의미합니다.
주요 특징:
- 전통적인 남성다움, 강한 리더십, 추진력, 주도적인 성향
- 솔직하고 직설적인 의사 표현, 논리적이고 현실적인 사고방식
- 갈등 상황에서 정면 돌파를 선호
- 감정보다는 해결책·행동 중심의 연애 스타일
- 책임감이 강하고, 연애에서도 리드하는 타입
- 외모는 각진 턱, 뚜렷한 이목구비 등 남성적인 인상이 많음
- 대표 연예인: 덱스, 비, 김종국, 옥택연, 박재범, 안보현 등
2. 에겐(Egen) – 에스트로겐
의미: 에겐남은 여성호르몬인 ‘에스트로겐(estrogen)’의 특성이 두드러지는 성을 뜻합니다.
주요 특징:
- 부드럽고 섬세한 감성, 다정하고 배려심이 깊음
- 감정 표현이 풍부하고, 공감 능력이 뛰어남
- 갈등 상황에선 감정을 폭발시키기보다는 묵묵히 받아들이거나 회피
- 감성적 대화와 교감, 로맨틱한 분위기를 중시하는 연애 스타일
- 내향적이고, 혼자만의 시간이나 정적인 취미를 선호
- 외모는 곱고 부드러운 선, 깨끗하고 깔끔한 인상
- 대표 연예인: 차은우, 박보검, 이종석, 남윤수, 최우식, 정해인 등
구분 | 테토 | 에겐 |
호르몬 | 테스토스테론(testosterone) | 에스트로겐(estrogen) |
성격 | 리더십, 추진력, 직설적, 주도적 | 섬세함, 다정함, 감성적, 공감능력 뛰어남 |
감정 표현 | 솔직·직접적, 행동 중심 | 풍부·세심, 말과 행동 모두 감성적 |
갈등 대처 | 정면 돌파, 논리적 해결 | 묵묵히 참거나 회피, 간접적 표현 |
연애 스타일 | 현실적, 책임감, 리드 | 감성적, 로맨틱, 배려심 |
외모 | 각진 턱, 남성적 인상 | 부드러운 선, 깨끗하고 깔끔한 인상 |
대표 연예인 | 덱스, 비, 김종국, 옥택연, 박재범, 안보현 | 차은우, 박보검, 이종석, 최우식, 정해인 |
3. 내 성격이 구분하는 체크리스트
테토(테스토스테론)과 에겐(에스트로겐)은 각각 남성적, 감성적 성향을 대표하는 신조어로, 최근 온라인에서 자신의 연애·소통 스타일을 파악하는 데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.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 본인의 성향을 간단히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.
✅ 테토 체크리스트
- 리더십이 강하고,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을 좋아한다.
- 감정보다 논리와 현실, 해결책을 중시한다.
- 갈등 상황에서 정면 돌파, 직접적인 대화를 선호한다.
- 감정 표현이 솔직하고 직설적이다.
- 스포츠, 액티브한 취미, 경쟁적인 활동을 즐긴다.
- 빠른 결정과 추진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.
- 남자들 무리에서 서열이나 리더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다.
- 단순하고 긍정적인 성격, 복잡한 감정 표현이나 섬세함은 약간 부족하다.
- 현실적이고, 목표 지향적이다.
- 연애에서도 리드하고, 행동으로 사랑을 표현한다.
- 외모는 각진 턱, 강인한 인상, 남성적인 분위기를 지녔다고 듣는다.
✅ 에겐 체크리스트
- 감성적이고, 섬세하며 배려심이 깊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.
-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고, 감정 이입이 잘 된다.
- 갈등 상황에서 직접적인 충돌보다는 회피하거나 부드럽게 타협한다.
- 감정 표현이 풍부하고, 말이나 행동으로 애정을 자주 표현한다.
- 예술, 음악, 패션, 미술 등 감성적인 취미를 즐긴다.
- 내향적이거나 혼자만의 시간을 소중히 여긴다.
- 연애에서 로맨틱함과 감정 교류, 배려를 중요하게 생각한다.
- 부드럽고 깔끔한 인상, 곡선형 얼굴선 등 외모가 온화하다는 평을 듣는다.
- 상대의 작은 변화도 잘 캐치하고, 세심하게 챙긴다.
- 감정 중심의 대화와 분위기를 중시한다.
각 항목을 읽고, 자신에게 해당한다고 생각되는 쪽에 체크해보세요.
테토남 항목에 더 많이 체크된다면 ‘테토남’ 성향, 에겐남 항목이 많다면 ‘에겐남’ 성향에 가깝습니다. 비슷하게 나왔다면, 두 성향이 혼합된 중간 유형일 수 있습니다.
4. 트렌드
이 용어들은 실제 호르몬 수치와는 무관하며, 사회적 이미지와 성향을 재미있게 분류한 신조어입니다. 자신의 연애 스타일, 인간관계 유형을 간단히 설명하거나, 이상형을 찾는 데 활용되는 밈(meme)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. 지나치게 이분법적으로 성격을 나누거나, 고정관념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비판도 있으니 참고가 필요합니다. 연애 스타일, 인간관계, 외모 이미지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이 두 유형이 밈처럼 활용되고 있으며, Z세대의 새로운 자기소개 방식이자 이상형 찾기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.
댓글